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원하는 것을 삶에서 끌어당기는 방법 감정연습

by 책하나 2022. 8. 7.
반응형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두 가지 감정만 있습니다. 
그것은 기분 좋은 감정과 기분 나쁜 감정 바로 그것입니다. 
각각의 감정에 담긴 진동 주파수는 서로 다릅니다. 감정은 근원 에너지와 일치된 정도를 보여줍니다. 기분이 좋을수록 소망의 주파수에 일치된 상태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자신의 기분을 의도적으로 아주 조금이라도 나아지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사실을 알아차리는 것에 엄청난 가치가 있습니다. 
지금 당장 가장 기분 좋게 느껴지는 생각을 하고, 그 생각을 반복하게 될 때, 당신은 아주 짧은 시간 안에 아주 기분 좋은 상태에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삶에서 원하는 것을 올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은 습관적으로 저항하는 생각입니다. 다시 말해 부정적인 감정과 부정적인 생각입니다. 
감정연습은 당신의 저항하는 경향을 내려놓는 데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경험을 뜻대로 통제하려면 반드시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릴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은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데 필수입니다.

https://youtu.be/0G5r_twNZyc

당신이 어떤 진동을 발산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두 가지 확실한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자기 삶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주의를 기울이는 것입니다
자신이 초점을 맞추었던 것과 삶 속에 구현되는 것은 언제나 진동 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지금 자신의 기분이 어떤지’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입니다. 감정은 자신이 어떤 진동을 발산하고 있는지, 그리고 자신이 무엇을 끌어당기고 있는지 끊임없이 알려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가져왔던 생각과 느낌, 그리고 삶 속에 구현되고 있는 것 사이에 상관관계를 알아차리는 일은 굉장히 유익합니다. 그 관계를 알아차려야 더 좋은 것을 끌어당기기 위해 자기 생각을 의도적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분 나쁘게 느껴지는 생각을 더 기분 좋게 느껴지는 다른 생각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의식적인 창조란 자기 생각을 의도적으로 더 기분 좋은 방향으로 지휘해 가는 일입니다. 
의식적인 창조란 자신에게 더 기분 좋게 느껴지는 생각을 선택하고, 그 선택의 결과로 삶의 환경이 바뀌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삶의 환경과 조건이 바뀌는 원리가 바로 끌어당김의 원리입니다. 
의식적인 창조자로 나의 인생을 통제하고 삶의 환경과 조건을 바꾸는 훈련과정의 처음은 바로 미친 듯이 감사하기입니다. 
감사하기를 통해 소망의 진동수에 일치시켜야 합니다. 


미친 듯이 감사하기는 단순히 마음속으로 즐거운 생각을 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지금 자신의 주변을 돌아보고 기분 좋게 느껴지는 것을 찾습니다. 그것이 얼마나 경이롭고, 아름답고, 유용한지를 생각하면서 그 기분 좋은 대상을 주시합니다. 그런 다음, 이제 자신의 기분이 더 나아졌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고 그렇게 된 것에 감사한 마음을 갖습니다. 
자신이 쉽게 감사함을 느낄 수 있는 대상을 찾습니다. 이 과정은 문제점을 고치는 것이 아닌, 감사를 통해 더 높은 진동을 연습하는 과정입니다. 
기분 좋은 느낌의 진동을 더 오래 유지할수록, 끌어당김의 법칙은 당신이 발산 중인 진동에 조화를 이루는 생각, 경험, 사람, 그리고 물건들을 더 많이 가져다줍니다. 
당신이 감사할 것들을 찾는 습관을 갖게 되면, 삶의 하루하루가 그런 것들로 채워지는 것을 보게 될 것입니다. 감사함의 생각과 느낌이 당신에게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올 것입니다. 
미친 듯이 감사하기를 실행해 가면, 원하지 않는 것을 쉽게 알아차려 원하는 것에 다시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삶은 내일의 것이 아닙니다. 바로 지금에 관한 것입니다. 
지금 당신은 소망의 주파수에 진동을 맞추어야 합니다. 

https://link.coupang.com/a/uXDas

 

감정 연습:감정을 이용해 원하는 삶으로 옮겨가는 22가지 방법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